G형 주계열성천문학에서 G V는 항성이 분광형상 G임과 함께, 주계열 상태라는 뜻의 V 상태에 있음을 의미하는 용어이다. 다른 말로 황색왜성(黃色矮星, yellow dwarf)이나 실제색은 흰색으로 보인다. 질량은 태양의 0.8~1.03배, 표면 온도는 5,300~6,000K에 이른다[1]. 특징다른 주계열성들과 마찬가지로 G V는 항성 중심부에서 수소를 태워 헬륨으로 치환하는 핵융합 작용을 하는 단계에 있다[2]. 태양 때문에 G V는 가장 익숙하고 연구가 많이 되어 있다. 태양은 초당 6억 톤의 수소를 헬륨으로 바꾸고 있으며, 약 4백만 톤의 에너지를 발산하고 있다[3][4]. G V의 다른 예로, 센타우루스자리 알파, 고래자리 타우, 페가수스자리 51 등이 있다[5][6][7]. 황색왜성이라는 표현은 사실 정확하지 않다. G형의 항성은 일관된 색을 지니고 있지 않기 때문이다 (G형 항성을 우주에서 관측시 흰색을 띄게 된다.) G형 중 뜨거운 쪽(예 : 태양)의 실제 색은 흰색에 가까우며(흰색에 아주 미미한 푸른색), G형 중 차가운 쪽(예 : 고래자리 타우)의 색은 완벽한 흰색이다. 우리의 태양은 노란 색이 아니며, 실제로 흰색이다[8]. 이처럼 잘못된 명칭이 붙은 이유는, 지구의 푸른 하늘은 태양을 노란 색으로 착각하게 만들며, 지평선에서 해넘이가 일어날 때 태양은 레일리산란 때문에 인간의 맨눈으로 볼 때 붉은 색에 가깝게 보이기 때문이다. G V형의 항성이 내부의 수소를 모두 소진하는 데 걸리는 시간은 약 100억 년이다. 이후, G V형 항성은 주계열 상태에서 이탈하여 스스로 덩치를 크게 부풀리면서 적색 거성으로 진화한다[9]. (예: 알데바란) 그 후 적색 거성은 외곽의 가스층을 우주 공간으로 날려 보내면서 자신의 가까이에 행성상성운을 형성한다. 외곽이 벗겨진 후 남은 중심핵은 냉각되어 밀도 높은 백색왜성으로 축퇴된다[2]. G형 주계열성은 그 속성이 다른 분광형의 항성들에 비해 잘 알려진 것 이외에도 지구와 같은 생명체를 품을 수 있는 가장 유력한 후보이기도 하다. G형 주계열성은 생명체가 진화하는 데 필요한 시간을 충분히 제공할 수 있을 정도로 오래 살며 너무 뜨겁지도, 너무 차갑지도 않은 적당한 밝기의 항성으로 여겨지고 있다. 따라서 외계 행성 탐사에 있어 G형들은 주요 관측 대상이 된다. 기준별존슨과 모건이 1953년 출판한 여키스 아틀라스 시스템 개정판(The revised Yerkes Atlas system)에는 G형 분광형의 기준별 11개가 수록되어 있다. 그러나 이후 이들 중 일부는 목록에서 탈락했다.[10] 모건-키넌 분광형 체계에 실려있는 G형 분광형의 기준별들은 다음과 같다. 위 목록에 없는 G4, G6 형의 기준별은 계속 바뀌어 왔으나 가장 자주 사용되는 천체는 다음과 같다.
G7, G9 분광형의 기준별로 합의된 항성은 아직까지 없다. 예다음 목록은 지구에서 30광년 이내에 있는 G형 주계열성들 중 일부이다.
각주
같이 보기Information related to G형 주계열성 |
Portal di Ensiklopedia Duni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