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의 거리값은 모두 정확히 300.25일(정확히 1일 당 86,400SI초, 총 31,557,600초)[4]로 구성된 1 율리우스년에 기준하고 빛의 속도를 299,792,458m/s로 정의하는 IAU 1976 개정 천문 상수계에 기반하며, 1984년부터 사용되었다.[5] 천문 단위의 DE405 값인 149,597,870,691m[6] 는, 천문 단위에서의 광년과 파섹의 계산에 쓰인다.
광월은 따로 값의 계산을 위한 정의가 없는데, 이는 천문단위계나 SI 단위에 달에 대한 개별 정의가 없기 때문이다. 하지만 단순히 광년의 12분의 1 크기인 단위로 이해하고 사용할 수도 있다.
다른 수치
1968년부터 1983년까지는 IAU 1964 개정 천문 상수계가 사용되었고, 태양년(율리우스년이 아닌)과 관측된(정의된 수치가 아닌) 빛의 속도가 이에 포함되어있었다.[7]사이먼 뉴컴의 역기점(J1900.0) 기반의 1 태양년(31,556,925.9747 역표시 초)과 299,792.5 km/s의 빛의 속도로부터 계산된 1 광년은 9.460530×1015 m로, 이들 수치는 1973년 자료처럼[8] 꽤 오래된 출처로부터 도출된 결과[9][10][11]에서 찾을 수 있는데 2000년까지는 갱신되지 않았다.[12]
다른 정밀한 수치들은 일관된 IAU 계를 바탕으로 도출되지 않았다. 일부 최근의 자료에서[13][14] 볼 수 있는 값인 9.460536207×1015 m 미터는 300.2425 일 (31,556,952 초)로 이뤄진 그레고리년과, 정의된 빛의 속도(299,792,458 m/s)를 바탕으로 나온 값이다.
↑Fujisawa, K.; Inoue, M.; Kobayashi, H.; Murata, Y.; Wajima, K.; Kameno, S.; Edwards, P. G.; Hirabayashi, H.; Morimoto, M. (2000). “Large Angle Bending of the Light-Month Jet in Centaurus A”. 《Publ. Astron. Soc. Jpn.》 52 (6): 1021–26. 2009년 9월 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9년 5월 10일에 확인함. CS1 관리 - 여러 이름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