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구에서 눈키로부터 5.2 분각 떨어진 곳에 10 등급 밝기의 안시 동반성이 있다.[15] 눈키는 황도 가까이에 있기 때문에 달에 가려질 때가 있다. 드물게는 태양계 행성들이 이 별을 가리는 경우도 있는데 예로 1981년 11월 17일 금성이 눈키 앞을 지나갔다.[16]
명명법
궁수자리 시그마는 이 별을 바이어 명명법으로 표기한 것이다. 전통적으로 불려오던 이름 눈키는 아시리아 또는 바빌로니아 시대에 생겨난 단어로 고고학자들이 복원, R. H. 앨런이 저작물을 통해 알린 것이다.[17] 2016년 국제천문연맹은 항성들의 고유명칭을 정리 및 표준화 하려는 취지하에 항성명칭심의위원회(WGSN)를 조직하였다.[18] WGSN은 2016년 8월 21일 눈키 명칭을 승인하였으며 현재 이 이름은 국제천문연맹의 항성명칭목록에 등재되어 있다.[11]
아랍 문화권에서는 눈키와 궁수자리 파이, 제타, 카이, 타우를 함께 묶어 النعم السادرة ('알 나암 알 사디라흐', 돌아오는 타조들)라고 불렀다.[20]
알 악사시 알 무아케트의 책력에는 눈키를 '타니흐 알 사디라흐'로 수록했는데 이 어구는 라틴어로 Secunda τού al Sadirah 로 번역되었으며 '돌아오는 타조 중 두 번째'라는 뜻이다.[21]
눈키는 동아시아 별자리에서는 두수의 두(斗, '국자')에 속해 있다. 두는 눈키, 궁수자리 파이, 람다, 뮤, 타우, 제타로 이루어져 있다. 이 중 눈키 하나만을 부르는 이름은 두수4(斗宿四, 두에서 네 번째 별)이다.[22]
각주
↑ 가나다라마바Perryman, M. A. C.; Lindegren, L.; Kovalevsky, J.; Hoeg, E.; Bastian, U.; Bernacca, P. L.; Crézé, M.; Donati, F.; Grenon, M.; Grewing, M.; Van Leeuwen, F.; Van Der Marel, H.; Mignard, F.; Murray, C. A.; Le Poole, R. S.; Schrijver, H.; Turon, C.; Arenou, F.; Froeschlé, M.; Petersen, C. S. (July 1997), “The Hipparcos Catalogue”, 《Astronomy and Astrophysics》 323: L49–L52, Bibcode:1997A&A...323L..49P
↑ 가나다Wielen, R.; 외. (1999), “Sixth Catalogue of Fundamental Stars (FK6). Part I. Basic fundamental stars with direct solutions”, 《Veröff. Astron. Rechen-Inst. Heidelb》 (Astronomisches Rechen-Institut Heidelberg) 35 (35): 1, Bibcode:1999VeARI..35....1W
↑ 가나Houk, Nancy (1979), “Michigan catalogue of two-dimensional spectral types for the HD stars”, 《Michigan Catalogue of Two-dimensional Spectral Types for the HD stars. Volume_3. Declinations -40_ƒ0 to -26_ƒ0》 (Ann Arbor, Michigan: Dept. of Astronomy, University of Michigan) 3, Bibcode:1982MSS...C03....0H
↑ 가나Gutierrez-Moreno, Adelina; Moreno, Hugo (June 1968), “A photometric investigation of the Scorpio-Centaurus association”, 《Astrophysical Journal Supplement》 15: 459, Bibcode:1968ApJS...15..459G, doi:10.1086/190168
↑Underhill, A. B.; 외. (November 1979), “Effective temperatures, angular diameters, distances and linear radii for 160 O and B stars”, 《Monthly Notices of the Royal Astronomical Society》 189 (3): 601–605, Bibcode:1979MNRAS.189..601U, doi:10.1093/mnras/189.3.601
↑Abt, Helmut A.; Levato, Hugo; Grosso, Monica (July 2002), “Rotational Velocities of B Stars”, 《The Astrophysical Journal》 573 (1): 359–365, Bibcode:2002ApJ...573..359A, doi:10.1086/340590
↑Cassinelli, J. P.; 외. (February 1994), “X-ray emission from near-main-sequence B stars”, 《Astrophysical Journal, Part 1》 421 (2): 705–717, Bibcode:1994ApJ...421..705C, doi:10.1086/173683
↑Mason, Brian D.; Wycoff, Gary L.; Hartkopf, William I.; Douglass, Geoffrey G.; Worley, Charles E. (2001). “The 2001 US Naval Observatory Double Star CD-ROM. I. The Washington Double Star Catalog”. 《The Astronomical Journal》 122 (6): 3466. Bibcode:2001AJ....122.3466M. doi:10.1086/323920.
↑Knobel, E. B. (June 1895). “Al Achsasi Al Mouakket, on a catalogue of stars in the Calendarium of Mohammad Al Achsasi Al Mouakket”. 《Monthly Notices of the Royal Astronomical Society》 55 (8): 430. Bibcode:1895MNRAS..55..429K. doi:10.1093/mnras/55.8.4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