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연계에 존재하는 제논의 안정 동위 원소는 8종으로 주석 다음으로 가장 많다. 136Xe은 반감기가 2.38 x 1021 년으로 매우 길어 안정 동위 원소로 취급하고 있다.
133Xe 원자로에서 핵분열 생성물로 다량 생성되며 반감기는 5.2475일로 핵의학에 이용된다.
표
핵자 수
|
Z(p)
|
N(n)
|
동위 원소 질량 (u)
|
반감기
|
붕괴 방식[1][n 1]
|
붕괴 생성 동위 원소[n 2]
|
핵 스핀
|
자연계에 존재하는 동위 원소 범위 (몰 분율)
|
자연계에 존재하는 최대 범위 (몰 분율)
|
들뜬 에너지
|
110Xe
|
54
|
56
|
109.94428(14)
|
310(190) ms [105(+35-25) ms]
|
β+
|
110I
|
0+
|
|
|
α
|
106Te
|
111Xe
|
54
|
57
|
110.94160(33)#
|
740(200) ms
|
β+ (90%)
|
111I
|
5/2+#
|
|
|
α (10%)
|
107Te
|
112Xe
|
54
|
58
|
111.93562(11)
|
2.7(8) s
|
β+ (99.1%)
|
112I
|
0+
|
|
|
α (0.9%)
|
108Te
|
113Xe
|
54
|
59
|
112.93334(9)
|
2.74(8) s
|
β+ (92.98%)
|
113I
|
(5/2+)#
|
|
|
β+, p (7%)
|
112Te
|
α (0.011%)
|
109Te
|
β+, α (0.007%)
|
109Sb
|
114Xe
|
54
|
60
|
113.927980(12)
|
10.0(4) s
|
β+
|
114I
|
0+
|
|
|
115Xe
|
54
|
61
|
114.926294(13)
|
18(4) s
|
β+ (99.65%)
|
115I
|
(5/2+)
|
|
|
β+, p (0.34%)
|
114Te
|
β+, α (3×10−4%)
|
111Sb
|
116Xe
|
54
|
62
|
115.921581(14)
|
59(2) s
|
β+
|
116I
|
0+
|
|
|
117Xe
|
54
|
63
|
116.920359(11)
|
61(2) s
|
β+ (99.99%)
|
117I
|
5/2(+)
|
|
|
β+, p (0.0029%)
|
116Te
|
118Xe
|
54
|
64
|
117.916179(11)
|
3.8(9) min
|
β+
|
118I
|
0+
|
|
|
119Xe
|
54
|
65
|
118.915411(11)
|
5.8(3) min
|
β+
|
119I
|
5/2(+)
|
|
|
120Xe
|
54
|
66
|
119.911784(13)
|
40(1) min
|
β+
|
120I
|
0+
|
|
|
121Xe
|
54
|
67
|
120.911462(12)
|
40.1(20) min
|
β+
|
121I
|
(5/2+)
|
|
|
122Xe
|
54
|
68
|
121.908368(12)
|
20.1(1) h
|
β+
|
122I
|
0+
|
|
|
123Xe
|
54
|
69
|
122.908482(10)
|
2.08(2) h
|
ε
|
123I
|
1/2+
|
|
|
123mXe
|
185.18(22) keV
|
5.49(26) µs
|
|
|
7/2(-)
|
|
|
124Xe
|
54
|
70
|
123.905893(2)
|
관찰 안정[n 3]
|
0+
|
9.52(3)×10−4
|
|
125Xe
|
54
|
71
|
124.9063955(20)
|
16.9(2) h
|
β+
|
125I
|
1/2(+)
|
|
|
125m1Xe
|
252.60(14) keV
|
56.9(9) s
|
IT
|
125Xe
|
9/2(-)
|
|
|
125m2Xe
|
295.86(15) keV
|
0.14(3) µs
|
|
|
7/2(+)
|
|
|
126Xe
|
54
|
72
|
125.904274(7)
|
안정[n 4]
|
0+
|
8.90(2)×10−4
|
|
127Xe
|
54
|
73
|
126.905184(4)
|
36.345(3) d
|
ε
|
127I
|
1/2+
|
|
|
127mXe
|
297.10(8) keV
|
69.2(9) s
|
IT
|
127Xe
|
9/2-
|
|
|
128Xe
|
54
|
74
|
127.9035313(15)
|
안정[n 5]
|
0+
|
0.019102(8)
|
|
129Xe[n 6]
|
54
|
75
|
128.9047794(8)
|
안정[n 5]
|
1/2+
|
0.264006(82)
|
|
129mXe
|
236.14(3) keV
|
8.88(2) d
|
IT
|
129Xe
|
11/2-
|
|
|
130Xe
|
54
|
76
|
129.9035080(8)
|
안정[n 5]
|
0+
|
0.040710(13)
|
|
131Xe[n 7]
|
54
|
77
|
130.9050824(10)
|
안정[n 5]
|
3/2+
|
0.212324(30)
|
|
131mXe
|
163.930(8) keV
|
11.934(21) d
|
IT
|
131Xe
|
11/2-
|
|
|
132Xe[n 7]
|
54
|
78
|
131.9041535(10)
|
안정[n 5]
|
0+
|
0.269086(33)
|
|
132mXe
|
2752.27(17) keV
|
8.39(11) ms
|
IT
|
132Xe
|
(10+)
|
|
|
133Xe[n 7][n 8]
|
54
|
79
|
132.9059107(26)
|
5.2475(5) d
|
β-
|
133Cs
|
3/2+
|
|
|
133mXe
|
233.221(18) keV
|
2.19(1) d
|
IT
|
133Xe
|
11/2-
|
|
|
134Xe[n 7]
|
54
|
80
|
133.9053945(9)
|
관찰 안정[n 9]
|
0+
|
0.104357(21)
|
|
134m1Xe
|
1965.5(5) keV
|
290(17) ms
|
IT
|
134Xe
|
7-
|
|
|
134m2Xe
|
3025.2(15) keV
|
5(1) µs
|
|
|
(10+)
|
|
|
135Xe[n 10]
|
54
|
81
|
134.907227(5)
|
9.14(2) h
|
β-
|
135Cs
|
3/2+
|
|
|
135mXe
|
526.551(13) keV
|
15.29(5) min
|
IT (99.99%)
|
135Xe
|
11/2-
|
|
|
β- (0.004%)
|
135Cs
|
136Xe[n 11]
|
54
|
82
|
135.907219(8)
|
2.38(0.02,0.14) x 1021yr
|
β-β-
|
136Ba
|
0+
|
0.088573(44)
|
|
136mXe
|
1891.703(14) keV
|
2.95(9) µs
|
|
|
6+
|
|
|
137Xe
|
54
|
83
|
136.911562(8)
|
3.818(13) min
|
β-
|
137Cs
|
7/2-
|
|
|
138Xe
|
54
|
84
|
137.91395(5)
|
14.08(8) min
|
β-
|
138Cs
|
0+
|
|
|
139Xe
|
54
|
85
|
138.918793(22)
|
39.68(14) s
|
β-
|
139Cs
|
3/2-
|
|
|
140Xe
|
54
|
86
|
139.92164(7)
|
13.60(10) s
|
β-
|
140Cs
|
0+
|
|
|
141Xe
|
54
|
87
|
140.92665(10)
|
1.73(1) s
|
β- (99.45%)
|
141Cs
|
5/2(-#)
|
|
|
β-, n (0.043%)
|
140Cs
|
142Xe
|
54
|
88
|
141.92971(11)
|
1.22(2) s
|
β- (99.59%)
|
142Cs
|
0+
|
|
|
β-, n (0.41%)
|
141Cs
|
143Xe
|
54
|
89
|
142.93511(21)#
|
0.511(6) s
|
β-
|
143Cs
|
5/2-
|
|
|
144Xe
|
54
|
90
|
143.93851(32)#
|
0.388(7) s
|
β-
|
144Cs
|
0+
|
|
|
β-, n
|
143Cs
|
145Xe
|
54
|
91
|
144.94407(32)#
|
188(4) ms
|
β-
|
145Cs
|
(3/2-)#
|
|
|
146Xe
|
54
|
92
|
145.94775(43)#
|
146(6) ms
|
β-
|
146Cs
|
0+
|
|
|
147Xe
|
54
|
93
|
146.95356(43)#
|
130(80) ms [0.10(+10-5) s]
|
β-
|
147Cs
|
3/2-#
|
|
|
β-, n
|
146Cs
|
- ↑ 약어:
ε: 전자 포획
IT: 이성질핵 전이
- ↑ 안정 동위 원소는 굵은 글씨로 표기
- ↑ 이론적으로는 β+β+ 붕괴를 통해 124Te으로 붕괴할 것이며 반감기는 4.8 x 1019 년을 초과할 것으로 예상된다.
- ↑ β+β+ 붕괴를 통해 126Te으로 붕괴할 수 있다.
- ↑ 가 나 다 라 마 이론상으로 자발 핵분열을 할 수 있다.
- ↑ 아이오딘-129를 이용한 방사성 연대측정에 이용하여 지하수와 태양계의 주요 사건을 추론하는데 응용.
- ↑ 가 나 다 라 핵분열 생성물
- ↑ 핵 의학에 이용.
- ↑ 이론적으로는 β-β- 붕괴를 통해 134Ba으로 붕괴할 것이며, 반감기는 5.6×1022 년을 초과할 것으로 예상된다.
- ↑ 핵분열 생성물인 텔루륨-135의 붕괴 결과 생성되는 아이오딘-135의 붕괴 생성물로, 원자력 발전소에서 생산되며, 강력한 중성자 흡수재로 알려져 있다. 일반적으로 제논-136을 생성할 때는 중성자 선속이 높은 환경에서 중성자를 흡수한다.
- ↑ 태양계 초창기부터 존재해 왔었던 방사성 핵종이다.
각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