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리그 는 1983년 출범한 이후로 많은 수상 기록을 남겼다. 본 문서는 구단의 수상 기록에 관한 문서이다.
시즌별 시상 항목
올해의 페어플레이상
올해의 유소년 클럽상
올해의 풀 스타디움상
최다 관중을 유치한 구단에게 주는 상으로 2012년에 신설되었으며[ 1] K리그1 과 K리그2 를 통합하여 시상한다.
올해의 플러스 스타디움상
작년 대비 최다 관중 증가를 기록한 구단에게 주는 상으로 2012년에 신설되었으며 K리그1 과 K리그2 를 통합하여 시상한다.
K리그1
올해의 그린 스타디움상
홈구장 잔디 관리를 가장 잘한 구단에게 주는 상으로 2012년에 신설되었으며 K리그1 과 K리그2 를 통합하여 시상한다.
올해의 팬 프렌들리 클럽상
마케팅과 팬서비스 활동을 가장 잘한 구단에게 주는 상이다.
통합 시상
K리그1
K리그2
사랑 나눔상
K리그 22개 구단의 ▲사회공헌 활동 횟수, ▲수혜자 수, ▲ 재능기부 참가인원 등 사회공헌활동 관련 지표에서 높은 실적을 기록한 구단에 주어지는 상이다
그린 위너스상
다양한 친환경 캠페인을 펼친 구단에 수여된다.
공로상
스페셜올림픽코리아 K리그 통합축구 Unified Cup 첫 번째 승리자[ 2]
분기별 시상 항목
풀 스타디움상
K리그1
시즌
차수
클럽
비고
2012
1차
2차
3차
2013
1차 (1~12라운드)
2차 (13~25라운드)
FC 서울
3차 (26~38라운드)
2014
1차 (1~12라운드)
2차 (13~25라운드)
3차 (26~38라운드)
2015
1차 (1~12라운드)
2차 (13~25라운드)
3차 (26~38라운드)
2016
1차 (1~12라운드)
2차 (13~25라운드)
3차 (26~38라운드)
2017
1차 (1~12라운드)
2차 (13~25라운드)
3차 (26~38라운드)
2018
1차 (1~12라운드)
2차 (13~25라운드)
3차 (26~38라운드)
2019
1차 (1~12라운드)
2차 (13~25라운드)
3차 (26~38라운드)
2020
N/A
미시상
2020시즌과 2021시즌이 코로나19 범유행 으로 무관중과 제한적 유관중 경기로 진행되어 미시상
2021
2022
1차 (1~12라운드)
2차 (13~25라운드)
3차 (26~38라운드)
K리그2
플러스 스타디움상
K리그1
시즌
차수
클럽
비고
2012
1차
2차
3차
2013
1차 (1~12라운드)
2차 (13~25라운드)
FC 서울
3차 (26~38라운드)
2014
1차 (1~12라운드)
2차 (13~25라운드)
3차 (26~38라운드)
2015
1차 (1~12라운드)
2차 (13~25라운드)
3차 (26~38라운드)
2016
1차 (1~12라운드)
2차 (13~25라운드)
3차 (26~38라운드)
2017
1차 (1~12라운드)
2차 (13~25라운드)
3차 (26~38라운드)
2018
1차 (1~12라운드)
2차 (13~25라운드)
3차 (26~38라운드)
2019
1차 (1~12라운드)
2차 (13~25라운드)
3차 (26~38라운드)
2020
N/A
미시상
2020시즌과 2021시즌이 코로나19 범유행 으로 무관중과 제한적 유관중 경기로 진행되어 미시상
2021
2022
1차 (1~12라운드)
2차 (13~25라운드)
3차 (26~38라운드)
K리그2
그린 스타디움상
K리그1
시즌
차수
클럽
비고
2012
1차
제주 유나이티드
2차
3차
2013
1차 (1~12라운드)
2차 (13~25라운드)
3차 (26~38라운드)
2014
1차 (1~12라운드)
2차 (13~25라운드)
3차 (26~38라운드)
2015
1차 (1~12라운드)
2차 (13~25라운드)
3차 (26~38라운드)
2016
1차 (1~12라운드)
2차 (13~25라운드)
3차 (26~38라운드)
2017
1차 (1~12라운드)
2차 (13~25라운드)
3차 (26~38라운드)
2018
1차 (1~12라운드)
2차 (13~25라운드)
3차 (26~38라운드)
2019
1차 (1~12라운드)
2차 (13~25라운드)
3차 (26~38라운드)
2020
2021
2022
1차 (1~12라운드)
2차 (13~25라운드)
3차 (26~38라운드)
K리그2
팬 프렌들리 클럽상
K리그1
시즌
차수
클럽
비고
2013
1차 (1~12라운드)
제주 유나이티드
2차 (13~25라운드)
3차 (26~38라운드)
2014
1차 (1~12라운드)
2차 (13~25라운드)
3차 (26~38라운드)
2015
1차 (1~12라운드)
2차 (13~25라운드)
3차 (26~38라운드)
2016
1차 (1~12라운드)
2차 (13~25라운드)
3차 (26~38라운드)
2017
1차 (1~12라운드)
2차 (13~25라운드)
3차 (26~38라운드)
2018
1차 (1~12라운드)
2차 (13~25라운드)
3차 (26~38라운드)
2019
1차 (1~12라운드)
2차 (13~25라운드)
3차 (26~38라운드)
2020
2021
2022
1차 (1~12라운드)
2차 (13~25라운드)
3차 (26~38라운드)
K리그2
월별 시상 항목
2020년부터 팬 테이스티 팀 시상이 폐지되어 현재는 월별 시상 항목이 없다.
주별 시상 항목
라운드 베스트팀
2007년 공격축구 유도를 위해 신설되어 현재까지 시상되고 있다.[ 3]
라운드 베스트매치
2010년 신설되었다.[ 4]
폐지된 시상 항목
시즌별 시상 항목
올해의 베스트팀 상
매라운드별 베스트팀을 선정하고 시즌 종합 베스팀을 선정하는 방식으로 2007년에 제정되었다.[ 5]
월별 시상 항목
팬 테이스티 팀
2017년에 신설되었고 2019년에 폐지되었다.
각주
같이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