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BS 제1FM(KBS 클래식FM, KBS Classic FM)은 대한민국의 방송국 한국방송공사에서 운영・방송하는 클래식 음악 전문 라디오 채널이다. 1979년4월 2일에 개국하였다.
개요
KBS 제1FM은 클래식 음악이 대부분의 편성을 차지하며, 이외에 대한민국가곡과 국악 및 재즈를 편성한다. 대부분 프로그램이 멘트를 최소화하고 음악 위주로 보내는 것이 특징이며, 각종 멘트들은 음반 소개와 아티스트들의 인터뷰 위주로 하고 있다.
다른 라디오 채널을 통해서 방송되는 프로그램들은 송출과정에서 음 보정 및 컴프레싱 장비를 거치면서 음을 보정시키거나 일부 음을 증폭하여 송출하기도 하지만, KBS 제1FM을 통해 나가는 프로그램들은 어떠한 음 보정 작업을 거치지 않고 방송한다. 이유는 주 청취자들인 클래식 음악 애청자들이 음원의 음질에 아주 민감하여 음원이 보정 작업 등으로 왜곡되는 것에 매우 반대하기 때문이다.
지역국의 지역FM은 본사에서 클래식FM(1FM)으로 취급하며 KBS 본사의 정책으로 쿨FM(2FM)과 혼합하여 편성하였으나, 광고가 금지되어 있다는 특성 때문에 쿨FM의 광고가 허용된 2001년 말 이후에는 대거 감축되어 사실상 수도권 이외 지역에서는 아침 6시의 굿모닝 팝스 외엔 모두 클래식FM의 프로그램이 나갔었다. 그러나 2017년 2월 6일부터 굿모닝 팝스가 KBS 해피FM에서 동시방송을 실시함에 따라 지역국 제1FM에서의 방송이 중단됨과 더불어 기존 클래식FM 프로그램인 새아침의 클래식이 전국적으로 송출되면서 비로소 완전한 전국화가 성사되었다.
특징
1979년 4월 2일에 KBS FM이라는 라디오를 개국을 했고, 1980년 12월 1일에 언론통폐합으로 인해서 KBS FM이 KBS 제1FM으로 변경을 하였다. 1980년 12월 1일에 언론통폐합으로 인해 KBS FM이 KBS 제1FM으로 바귀었고, 1981년 3월 6일에 광고방송(상업광고방송) 송출 재개준비를 결정이 내려졌다. KBS 1FM의 채널에서는 광고방송(상업광고방송)을 재개했다 1981년부터 1994년까지 13년동안 광고방송(상업광고방송)을 했지만 1994년 10월 1부터 광고방송(상업광고방송)이 폐지가 되었지만 광고방송(상업광고방송)은 내보내지 않게 되었다.[1] 공익광고방송 이외에 광고방송(상업광고방송)을 일절 내보내지 않았고 이는 현재까지 이어져 오고 있다. 광고방송(상업광고방송)을 하지 않는 것은 수신료로 운영되기 때문이다. 광고방송(상업광고방송)은 하지 않고 공익광고방송만 하고 있다.
방송 시보 멘트 변천 과정
이 글을 보려면 오른쪽 '펼치기' 버튼 클릭
“
좋은 방송 밝은 내일 KBS가 잠시후 5시를 알려드립니다. FM 93.1MHz KBS 제1FM 방송입니다.
”
— 새벽 5시 시보
“
좋은 방송 밝은 내일 KBS가 OO시를 알려드립니다. FM 93.1MHz KBS 제1FM입니다.
”
“
음악으로 행복을 KBS가 OO시를 알려드립니다. FM 93.1MHz KBS 클래식 FM입니다.
”
“
클래식을 더 가까이 KBS가 OO시를 알려드립니다. FM 93.1MHz KBS 클래식 FM입니다.
”
“
좋은 방송 밝은 내일 KBS가 OO시를 알려드립니다. FM 93.1MHz KBS 클래식 FM입니다.
”
“
클래식을 더 가까이 KBS가 OO시를 알려드립니다. FM 91.1MHz KBS 춘천 클래식 FM입니다.
”
“
좋은 방송 밝은 내일 KBS가 OO시를 알려드립니다. 강릉FM 89.1MHz, (태백)FM 97.3 MHz, KBS 강릉 FM방송입니다.
”
“
좋은 방송 밝은 내일 KBS가 OO시를 알려드립니다.FM 89.5MHz KBS 원주 FM방송입니다.
”
“
좋은 방송, 밝은 내일 KBS가 정시를 알려드립니다.
FM 94.1 MHz, KBS 청주 FM방송입니다.
”
“
좋은 방송, 밝은 내일 KBS가 잠시후 정시를 알려드립니다. FM 98.5MHz, KBS 대전 FM방송입니다.
”
“
FM 92.3MHz KBS광주 FM방송입니다. HLKL. 좋은 방송, 밝은 내일 KBS가 잠시후 정시를 알려드립니다.
”
“
FM 89.7MHz KBS대구 FM방송입니다. 좋은 방송, 밝은 내일 KBS가 잠시후 정시를 알려드립니다.
”
“
좋은 방송, 밝은 내일 KBS가 잠시후 정시를 알려드립니다. FM 93.9MHz, KBS 창원 FM방송입니다.
KBS 클래식FM의 방송 프로그램은 진행자가 개편을 통하여 간혹 바뀌기는 하지만 제목과 프로그램 내용은 거의 변경되지 않는다는 점에서 일반 방송과는 차별성을 보인다. 예를 들어 《출발 FM과 함께》, 《가정음악》, 《노래의 날개 위에》, 《FM 실황음악》, 《정다운 가곡》, 《FM 풍류마을》 모두 20년에서 30년 이상 그 시간대에 방송되어 온 프로그램이다.
그러던 것이 2009년 봄 개편으로, 심야 프로그램의 시간과 순서가 대폭 변경되었다. 기존의 《FM 실황음악》이 연주회 실황특집 방송을 위하여 오후 8시에 배치되었던 것이, 저녁 8시에 《클래식 산책》이 신규로 생기면서 각각 2시간씩 뒤로 배치되었다. 따라서 그동안 밤 10시에 방송된 《당신의 밤과 음악》은 익일 밤 12시에 방송된 《음악풍경》과 《재즈수첩》이 오전 2시로 배치되었으며, 새벽 1시부터 3시까지 방송된 《음악의 향기》는 폐지되었다.[8]
그러다가 2011년 1월 개편으로, 원래 밤 12시에 방송되었던 《당신의 밤과 음악》은 밤 10시로, 원래 새벽 2시에 방송되었던 《음악풍경》과 《재즈수첩》은 밤 12시로 복귀하였다. 원래 밤 10시에 방송되던 《FM 실황음악》은 다시 저녁 8시로 복귀하였고, 《출발 FM과 함께》를 진행했던 신윤주 아나운서는 낮 시간대(오전 9시 ~ 오후 5시)의 프로그램인 《KBS 음악실》로 이동하였다. 현재는 오전 9시에 《가정음악》을 진행하고 있다.
↑1FM의 라디오채널은 KBS 1TV의 채널과 KBS 제1라디오의 채널 3개도 광고방송(상업광고방송)을 1981년 3월 7일로 결정이 났다.
↑1979년 4월 2일 KBS FM 라디오개국 이후로는 1980년 12월 1일 새벽 0시에 언론통폐합으로 인해서 KBS FM을 KBS 제1FM으로 변경이 되었다. 1981년 3월 7일에 KBS 1TV의 채널과 KBS 제1라디오와 같이 광고방송(상업광고방송)을 재개 및 실시를 하였다.
↑KBS 2TV의 채널에서 광고가 잘 안 팔린다는 이유로 광고방송(상업광고방송) 시간을 확대하면서 KBS 1TV의 채널은 공영성 강화를 위한다는 명분으로 평일 오전시간 및 오후방송시간으로는 광고방송(상업광고방송)을 블록광고를 편성하게 되었지만 KBS 제1라디오와 같이 광고방송(상업광고방송)을 편성하였다.
↑1981년 3월 7일부터 1982년 1월 24일은 1차 광고방송(상업광고방송)을 했고, 1982년 1월 25일부터 1994년 9월 30일까지 2차 광고방송(상업광고방송)을 실시를 했다. 1994년 9월 30일에 마지막으로 광고방송(상업광고방송)을 방영을 했다.
↑정부는 수신료징수제도개선으로 계기로 KBS 1TV, KBS 제1라디오랑 함께 광고방송(상업광고방송) 폐지. 광고방송(상업광고방송)은 편성하지 않게 되었다. 광고방송(상업광고방송) 금지. 공익광고방송 포함.
↑개국 초기에는 호출부호를 HLSS로 받았으며 이후 1997년 KBS춘천 제1라디오(표준방송)의 호출부호인 HLKM으로 통합교체되었다.
↑개국 초기에는 호출부호를 HLQX로 받았으며 이후 1997년 KBS원주방송국의 호출부호인 HLCW로 통합교체되었다.
↑개국 초기에는 호출부호를 HLQD로 받았으며 이후 1997년 KBS강릉방송국의 호출부호인 HLKR로 통합교체되었다.
↑개국 초기에는 호출부호를 HLSR로 받았으며 이후 1997년 KBS전주 제1라디오(표준방송)의 호출부호인 HLKF로 통합교체되었다. HLSR은 이후 KBS 한민족방송에서 사용중이다.
↑개국 초기에는 호출부호를 HLKL로 받았으며 이후 1997년 KBS 제1라디오(표준방송)의 호출부호인 HLKH로 통합교체되었다. HLKL은 현재 결번이나 부여 흔적 자체는 광주FM 시보에 남아있다.
↑개국 초기에는 호출부호를 HLSL로 받았으며 이후 1997년 KBS목포방송국의 호출부호인 HLKN으로 통합교체되었다.
↑개국 초기에는 한국FM방송의 호출부호인 HLCB를 그대로 인계받았으며 이후 1997년 KBS대구 제1라디오(표준방송)의 호출부호인 HLKG로 통합교체되었다. HLCB는 이후 기독교포항방송에 부여되었다.
↑개국 초기에는 호출부호를 KBS제주 제2방송계열인 HLQC로 받았으며 이후 1997년 KBS제주 제1라디오(표준방송)의 호출부호인 HLKS로 통합교체되었다. HLQC는 이후 제주방송과 KBS제주 제2라디오 표준FM에 부여되었는데, 제주방송은 텔레비전용 호출부호 HLKJ도 따로 점유하고 있다.
↑개국 초기에는 호출부호를 HLKK로 받았으며 이후 1997년 KBS부산총국의 호출부호인 HLKB로 통합교체되었다.
↑개국 초기에는 호출부호를 HLSH로 받았으며 이후 1997년 KBS진주국의 호출부호인 HLCJ로 통합교체되었다.
↑개국 초기에는 호출부호를 HLQS로 받았으며 이후 1997년 KBS대전총국의 호출부호인 HLKI로 통합교체되었다. HLQS는 이후 2007년OBS경인TV에 부여되었다.
↑개국 초기에는 호출부호를 HLQW로 받았으며 이후 1997년 KBS청주총국의 호출부호인 HLKQ로 통합교체되었다.
↑개국 초기에는 호출부호를 HLQT로 받았으며 이후 1997년 KBS충주방송국의 호출부호인 HLCH로 통합교체되었다. HLQT는 이후 대전 제2방송계열에 부여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