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도 제801호선

전라남도 지방도
801
지방도 제801호선
고군 ~ 나산선
지방도 제801호선
총연장 99.44km
기점 전라남도 진도군 고군면
주요
경유지
전라남도 진도군
전라남도 해남군
전라남도 영암군
전라남도 나주시
전라남도 함평군
종점 전라남도 함평군 나산면
주요
교차도로
국도 제1호선
국도 제2호선
국도 제18호선
국도 제23호선
국도 제77호선
국가지원지방도 제60호선
지방도 제806호선
지방도 제818호선
지방도 제820호선
지방도 제821호선
지방도 제825호선

지방도 제801호선전라남도 진도군 고군면 지막삼거리에서 함평군 나산면 나산면송암리 교차로를 잇는 전라남도지방도이다.

1983년에는 노선명이 '가학 ~ 영호선'이었다.

연혁

  • 1983년 12월 14일 : 도로 확포장공사를 위해 진도군 고군면 석현리 ~ 고성리 2.66km 구간과 해남군 화원면 청룡리 1.5km 구간 도로구역 변경[1]
  • 1984년 12월 10일 : 도로 확포장공사를 위해 진도군 고군면 오산리, 해남군 화원면 금평리 ~ 영호리 960m 구간 도로구역 변경[2]
  • 1985년 12월 23일 : 기점을 '진도군 지산면 가학리', 종점을 '해남군 화원면 별암리'로 명시하고 도로개량이 완료된 진도군 고군면 지막리 ~ 고성리 3.84km 구간 도로예정지 해제[3]
  • 1988년 1월 4일 : 진도군 고군면 고성리 ~ 향동리 7.24km 구간과 해남군 문내면 동외리 ~ 화원면 청룡리 8.35km 구간 도로예정지 해제[4]
  • 1988년 2월 10일 : 1988년 6월까지 진도군 고군면 벽파리 ~ 오류리 1.6km 구간 확포장공사 계획을 공고[5]
  • 1988년 9월 27일 : 1988년 12월까지 도로 확포장 공사를 위해 진도군 고군면 향동리 660m 구간 도로구역 결정[6]
  • 1989년 1월 6일 : 진도군 고군면 고성리 ~ 향동리 11.94km 구간과 진도군 군내면 벽파리 ~ 오류리 1.548km 구간, 해남군 문내면 동외리 ~ 화원면 청용리 8.353km 구간 도로예정지 해제[7]
  • 1989년 5월 13일 : 1989년 12월까지 진도군 고군면 향동리 ~ 의신면 초사리 5.4km 구간과 진도군 임회면 석교리 ~ 지산면 인지리 3.42km 구간, 진도군 고군면 오류리 ~ 군내면 세등리 3.08km 구간 확포장공사 계획을 공고[8]
  • 1990년 1월 13일 : 진도군 지산면 가학리 ~ 해남군 황산면 옥동리 25.44km 구간 도로예정지 해제[9]
  • 1990년 4월 16일 : 1991년 10월까지 1991년 10월까지 가학 ~ 영호간 도로(진도군 의신면 초사리 ~ 돈지리) 7.24km 구간 확포장공사 계획을 공고[10]
  • 1991년 1월 10일 : 진도군 의신면 초사리 ~ 돈지리 7.24km 구간과 진도군 지산면 인지리 620m 구간 도로예정지 해제[11]
  • 1992년 5월 4일 : 1994년 12월까지 돈지 ~ 죽림간 도로(진도군 의신면 돈지리 ~ 임회면 죽림리) 9.86km 구간과 황산 ~ 옥동간 도로(해남군 황산면 옥동리) 2.22km 구간 확포장공사 계획을 공고[12]
  • 2011년 7월 20일 : 해남군 황산면 옥동리 구간 349m 개통[13]
  • 2012년 2월 1일 : 영암군 서호면 금강리 ~ 시종면 신학리 (신금대교) 구간 3.9 km 개통[14]
  • 2014년 5월 1일 : 나주시 다시면 운봉리 구간 895m 이설[15]

주요 경유지

  • 진도군
    • 고군면 지막삼거리 - 원포리 - 마산방조제 - 고군교 - 내산리 - 벽파리 - 벽파방조제 - 벽파항 - (미개통 구간)
  • 해남군
    • 황산면 (미개통 구간) - (삼지원) - 옥동리 - 옥동삼거리 - (미개통 구간 : 관춘리)
    • 산이면 (미개통 구간 : 초송리 - 송천리)
    • 마산면 (미개통 구간 : 연구리)
  • 영암군
    • 미암면 (미개통 구간 : 신포리) - 미암서초등학교(폐교) - (대신자동차공업사) - 채지리
    • 삼호읍 (신기마을) - 사동삼거리 - 광서교
    • 학산면 광서교 - (광산) - 학산면신덕리 교차로 - 은곡리 - 독천초등학교 학산서분교(폐교) - 석포 교차로 - 매월리
    • 서호면 태백리 - 금강리 - 신금대교
    • 시종면 신금대교 - 시종교 - 신학리 - 봉소리 - 시종면월송리 교차로 - 내동리 - 시종중학교 - 시종터미널앞 (시종공용버스정류장) - 시종면내동리 교차로 - 와우리 - 옥야리 - 신연리 - 신연교 - 신흥리 - 신흥교
  • 나주시
    • 공산면 신흥교 - 화성리 - 공산 교차로 - 금곡삼거리 - 동촌리 - 중포리 - (미개통 구간 : 신곡리 - 금강정나루)
    • 다시면 (미개통 구간 : 석관정나루) - 동당리 - 문동리 - 동곡리 - 월태리 - 다시교 - 다시우체국 - 다시면소재지 - 월태리 - 백동교 - 운봉리 - 백룡제 - 청정리 - 청정교
    • 문평면 청정교 - 국동리 - 학교삼거리 - 학교리
  • 함평군
    • 나산면 송암리 - 송죽교 - 죽밀교 - 나산면송암리 교차로

중복 구간

도로명

각주

  1. 전라남도고시 제169호, 1983년 12월 14일.
  2. 전라남도고시 제167호, 1984년 12월 10일. 전라남도 도보 제1637호.
  3. 전라남도공고 제343호, 1985년 12월 23일. 전라남도 도보 제1690호.
  4. 전라남도공고 제4호, 1988년 1월 4일. 전라남도 도보 제1797호.
  5. 전라남도공고 제19호, 1988년 2월 10일. 전라남도 도보 제1802호.
  6. 전라남도고시 제156호, 전라남도공고 제125호, 1988년 9월 27일. 전라남도 도보 제1834호.
  7. 전라남도공고 제1호, 1989년 1월 6일. 전라남도 도보 제1849호.
  8. 전라남도공고 제72호, 1989년 5월 13일. 전라남도 도보 제1867호.
  9. 전라남도공고 제5호, 1990년 1월 13일. 전라남도 도보 제1902호.
  10. 전라남도공고 제60호, 1990년 4월 16일. 전라남도 도보 제1915호.
  11. 전라남도공고 제2호, 1991년 1월 10일. 전라남도 도보 제1953호.
  12. 전라남도공고 제1992-88호, 1992년 5월 4일. 전라남도 도보 제2023호.
  13. 전라남도 공고 제2011-454호[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2011년 7월 27일.
  14. 전라남도공고 제2012-65호 Archived 2014년 10월 17일 - 웨이백 머신, 2012년 2월 3일.
  15. 전라남도 공고 제2014-389호[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2014년 5월 1일.

Information related to 지방도 제801호선

Prefix: a b c d e f g h i j k l m n o p q r s t u v w x y z 0 1 2 3 4 5 6 7 8 9

Portal di Ensiklopedia Dunia

Kembali kehalaman sebelumny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