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놈
그놈(영어: GNU Network Object Model Environment, GNOME, /ɡəˈnoʊm, 걸어온 길1996년에 KDE 프로젝트가 시작되었다. KDE 자체는 처음부터 자유에 소스코드까지 공개되어 있는 프로젝트였으나 GNU 프로젝트의 구성원들은 KDE가 GPL을 따르지 않는 Qt를 사용하고 있다는 것을 우려하였다. 1997년 8월이 되자 이 문제에 대한 대안 차원에서 두 프로젝트가 시작되었는데 하나는 Qt 라이브러리를 소스 공개 자유 소프트웨어인 것으로 대체하기 위한 하모니였고 다른 하나는 Qt를 아예 사용하지 않으면서 GPL이나 LGPL을 따르는 소프트웨어만으로 이루어지는 그놈이었다.[4] 이것이 그놈의 시초이다. 초기 그놈 프로젝트의 지도자는 미겔 드 이카자와 페데리코 메나였다. 그놈은 Qt 대신 LGPL을 따르는 GTK+를 사용하였다. 데스크톱 부분과 라이브러리들은 LGPL을 따르고 응용 프로그램들은 GPL을 따르게 되었는데 이 중에서 GTK+와 라이브러리들이 따르는 LGPL이 GPL과 호환이 되지 않는 라이선스를 따르는 소프트웨어들과의 링크를 허용하는 라이선스였기 때문에[5] 그놈에서 사용하도록 작성된 응용 프로그램들은 더 넓은 범위의 라이선스들을 선택할 수 있었다. 나아갈 길그놈 웹사이트에 따르면,
그놈 데스크톱은 간결함과 사용성, 그리고 모든 것이 "그저 동작"하게 만드는 것을 강조한다. 그 결과로 그놈 개발 과정에는 두 가지 특징이 있다.
플랫폼그놈은 본래 GNU/리눅스 데스크톱으로 출발했지만, 현재는 이와 비슷한 대부분의 유닉스 계열(BSD 류, AIX, IRIX, HP-UX, 솔라리스)에서 동작한다. 썬 마이크로 시스템즈는 또한 자바 데스크톱 시스템이란 이름의 수세 리눅스와 그놈 데스크톱 기반의 기업용 데스크톱을 출시했다. 또한 시그윈을 통해 윈도우에서도 사용할 수 있다. 그노픽스, 모픽스, 우분투 리눅스 등 그놈 기반의 라이브 CD도 여럿 있다. 라이브 CD를 이용하면 기존의 운영체제를 지우거나 변경할 필요 없이 CD에서 직접 컴퓨터를 시동할 수 있다. 또한 그놈은 기본적으로는 C로 작성되었지만 C++, 자바, 루비, C#, 파이썬, 펄 등 많은 언어들에 대한 바인딩이 존재하기 때문에 C를 사용하지 않는 개발자라도 자신에게 맞는 언어로 그놈에서 사용하는 응용 프로그램을 작성할 수 있다. 안정판별 배포 시기와 노트지금까지 배포된 각 안정판의 릴리즈 시기 및 노트들이다. 노트에는 해당 배포판의 특징이라든가 개선·변경점들이 소개되어 있다.
그놈 데스크탑 프로그램주요 그놈 데스크톱 프로그램은 다음과 같다. 그놈 컨트롤 센터그놈 컨트롤 센터(gnome-control-center)는 그놈 데스크 탑의 주요 환경설정을 다루는 시스템 프로그램이다. 한편 그놈 컨트롤 센터(gnome-control-center)는 그놈 액티비티 오버뷰(Activities overview)의 서치바(search bar)에서는 'settings'으로도 실행가능하다.[17][18] 각주
같이 보기외부 링크공식 사이트관련 사이트Information related to 그놈 |
Portal di Ensiklopedia Duni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