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도 제42호선 (인천 ~ 동해선, 國道第四十二號 仁川東海線)은 인천광역시 중구 인천역 사거리에서 강원특별자치도 동해시 송정동 동해항 교차로까지 연결하는 대한민국의 일반 국도 이다. 이 중에서 인천광역시 남동구 장수서창동 에서 수원역 까지 구간은 수인로 라는 명칭으로 불린다.
연혁
1971년 8월 31일 : 일반국도노선지정령에 의해 국도 제42호선 인천 ~ 북평선이 됨.[ 1]
1972년 9월 19일 : 도로 노선 개량으로 인해 용인군 기흥면 구갈리 ~ 용인면 삼가리 5.66 km 구간을 4.56 km 로 도로구역 변경[ 2]
1976년 10월 30일 : 정선군 북면 나전리 ~ 여량리 13.13 km 구간 개통, 기존 12.04 km 구간 폐지[ 3]
1976년 12월 30일 : 수인산업도로 (인천시 간석동 ~ 수원시 서둔동) 46.7 km 구간 개통[ 4]
1980년 2월 22일 : 정선군 북면 여량리 ~ 유천리 1.64 km 구간 개통 및 기존 1.84 km 구간 폐지, 정선군 북면 나전리 ~ 여량리 13.13 km 구간 개통 및 기존 12.04 km 구간 폐지[ 5]
1981년 3월 14일 : 종점을 '강원도 삼척군 북평읍'에서 '강원도 동해시'로 변경함. 이에 따라 '인천 ~ 북평선'에서 '인천 ~ 동해선'이 됨.[ 6]
1986년 5월 13일 : 시점을 '경기도 인천시'에서 '인천직할시 중구'로 변경[ 7]
1994년 3월 16일 : 멧둔재터널(평창군 평창읍 노론리 ~ 미탄면 창리) 10.0 km 구간 개통[ 8]
1994년 7월 15일 : 정선군 북면 유천리 ~ 임계면 임계리 21.5 km 구간, 정선군 임계면 임계리 ~ 동해시 신흥동 23 km 구간 개통[ 9]
1995년 1월 12일 : 원주 ~ 안흥간 도로(원주시 태장1동 ~ 횡성군 안흥면 상안리) 36 km 구간 개통[ 10]
1995년 2월 11일 : 용인군 용인읍 김량장리 ~ 마평리 2 km 구간 및 용인군 기흥읍 신갈리 ~ 구갈리 720m 구간 개통[ 11]
1996년 7월 1일 : 시점을 '인천직할시 중구'에서 '인천광역시 중구'로 변경함.[ 12]
1997년 6월 13일 : 여주군 여주읍 교리 ~ 강천면 부평리 10.3 km 구간을 자동차 전용도로 로 지정[ 13]
1997년 12월 27일 : 용인 ~ 내사간 도로(용인시 마평동 ~ 이천시 마장면 이치리) 14.42 km 구간 확장 개통, 기존 5.59 km 구간 폐지[ 14]
1998년 5월 1일 : 이천 ~ 여주간 도로(이천시 부발읍 신하리 ~ 여주군 여주읍 교리) 17.32 km 구간 확장 개통, 기존 9.65 km 구간 폐지[ 15]
1999년 7월 19일 : 원주시 문막읍 문막리 ~ 단계동 12.2 km 구간 확장 개통, 기존 9.65 km 구간 폐지[ 16]
1999년 8월 31일 : 반월 ~ 수원시계간 도로(안산시 팔곡동 ~ 수원시 구운동) 9.74 km 구간 확장 개통[ 17]
1999년 12월 28일 : 경기도 여주군 강천면 부평리 ~ 강원도 원주시 문막읍 건등리 9.42 km 구간 자동차 전용도로 로 지정[ 18]
1999년 12월 31일 : 여주 ~ 강천간 도로(여주군 여주읍 교리 ~ 강천면 부평리) 10.3 km 구간 확장 개통, 기존 여주군 북내면 천송리 ~ 강천면 부평리 강원도계 15.4 km 구간 폐지[ 19]
2000년 1월 1일 : 경기도 여주군 강천면 부평리 ~ 강원도 원주시 문막읍 건등리 8.12 km 구간 확장 개통, 기존 7.035 km 구간 폐지[ 20]
2000년 12월 23일 : 용인시 양지면 양지리 840m 구간 확장 개통, 기존 800m 구간 폐지[ 21]
2001년 4월 10일 : 원주시 흥업면 사제리 ~ 서곡리 11.7 km 구간을 자동차 전용도로 로 지정[ 22]
2002년 1월 7일 : 원주시 봉산동 ~ 소초면 장양리 7.46 km 구간을 자동차 전용도로 로 지정[ 23]
2002년 8월 3일 : 원주시 관설동 ~ 봉산동 7.4 km 구간을 자동차 전용도로 로 지정[ 24]
2003년 9월 30일 : 강원도 횡성군 안흥면 상안리 640m 구간 개통[ 25]
2004년 12월 31일 : 이천시 마장면 회억리 ~ 표교리 3.35 km 구간 확장 개통 및 기존 4.28 km 구간 폐지, 이천시 호법면 유산리 ~ 부발읍 신하리 3.4 km 구간 확장 개통, 기존 5.3 km 구간 폐지[ 26]
2007년 7월 13일 : 여주우회도로(여주군 여주읍 홍문리 ~ 능서면 왕대리) 3 km 구간 확장 개통[ 27]
2007년 11월 9일 : 1993년 원주 ~ 안흥간 도로 개수공사로 인해 발생한 구 국도 구간 120m 폐지[ 28]
2007년 12월 16일 : 여주우회도로 개통으로 기존 여주군 능서면 왕대리 ~ 여주읍 홍문리 2.54 km 구간 폐지[ 29]
2008년 12월 31일 : 원주시 관내 국도대체우회도로(광터 교차로 ~ 관설 교차로) 구간 12.327 km 개통[ 30]
2009년 10월 13일 : 용인시 기흥구 영덕동 ~ 처인구 남동 12.42km 구간을 자동차 전용도로 로 지정[ 31]
2013년 11월 1일 : 전재고개(횡성군 우천면 백달리 ~ 안흥면 안흥리) 9.11 km 구간 신설·개량 개통, 기존 10.11 km 구간 폐지[ 32]
2013년 12월 23일 : 원주시 국도대체우회도로의 관설 ~ 봉산간 도로(원주시 관설동 관설 교차로 ~ 행구동 행구 교차로) 5.3 km 구간 확장 개통[ 33]
2014년 1월 16일 : 원주시 국도대체우회도로 개통으로 인해 기존 원주시 관통(원주시 흥업면 사제리 ~ 소초면 흥양리) 13.25km 구간 폐지[ 34]
2015년 11월 30일 : 평창 ~ 정선간 도로 1,2공구(평창군 평창읍 노론리 ~ 정선군 정선읍 광하리) 14.94 km 구간 확장 개통[ 35]
2017년 12월 31일 : 정선북면우회도로(정선군 여량면 여량리 ~ 유천리) 3.57 km 구간 확장 개통, 기존 3.61 km 구간 폐지[ 36]
2018년 2월 5일 : 평창 ~ 정선간 도로 3공구(정선군 정선읍 광하리 ~ 덕송리) 10.2 km 구간 확장 개통, 기존 13.0 km 구간 폐지[ 37]
2018년 11월 30일 : 용인시 국도대체우회도로(용인시 기흥구 영덕동 ~ 처인구 이동면 천리) 12.54km 구간 확장 개통[ 38]
2018년 12월 31일 : 영월 ~ 방림간 도로 1공구(평창군 평창읍 후평리 ~ 방림면 방림리 6.2km 구간과 평창군 방림면 방림리 500m 구간) 총 6.7km 구간 확장 개통, 기존 6.1km 구간 폐지[ 39] [ 40]
2020년 12월 29일 : 궁촌교차로(용인시 처인구 삼가동) 개통[ 41]
2022년 7월 18일 : 원주 ~ 새말간 도로(원주시 소초면 흥양리 ~ 횡성군 우천면 백달리) 11.66km 구간 개량 개통, 기존 원주시 소초면 학곡리 583m 구간 폐지[ 42]
주요 경유지
인천광역시
중구 (북성동2가 · 선린동 · 항동 · 해안동 · 항동 · 사동 · 신생동 · 신흥동) - 미추홀구 (숭의동 · 도화동 · 주안동) - 남동구 (간석동 · 만수동 · 장수동 · 운연동)
경기도
시흥시 (신천동 · 대야동 · 은행동 · 안현동 · 매화동 · 도창동 · 금이동 · 논곡동 · 목감동 · 조남동) - 안산시 상록구 (수암동 · 장상동 · 부곡동 · 성포동 · 이동 · 일동 · 팔곡일동 · 건건동 · 사사동) - 수원시 (권선구 (당수동 · 입북동 · 구운동 · 서둔동) - 팔달구 (고등동 · 매산로1가 · 매산로2가 · 매산로3가 · 교동 · 중동 · 팔달로3가 · 영동 · 인계동) - 영통구 (매탄동 · 원천동)) - 용인시 (기흥구 (영덕동 · 신갈동 · 구갈동 · 상하동) - 처인구 (삼가동 · 역북동 · 김량장동 · 마평동 · 양지면 ) - 이천시 (마장면 · 호법면 · 장록동 · 부발읍 ) - 여주시 (흥천면 · 세종대왕면 · 월송동 · 교동 · 홍문동 · 매룡동 · 연양동 · 단현동 · 강천면 )
강원특별자치도
노선
기존 구간 (2018년 이전 노선)
용인시 기흥구 영덕 교차로 - 경희대 입구삼거리 - 수원신갈 나들목 - 신갈시외버스정류장 - 신갈오거리 - 신갈치안센터사거리 - 녹십자 사거리 - 기흥역 사거리 - 강남대 삼거리 (강남대지하차도) - 어정삼거리 - 고인돌마을사거리 - 하나로마트사거리 - 아주냉장삼거리 - 대우아파트삼거리 - 진흥아파트입구 - 수원동(취락마을)삼거리 - 쌍용아파트입구 - 상하동인정프린스A사거리 - 상하교
용인시 처인구 삼가삼거리 - 삼가역 삼거리 - 용인시청삼거리 - 용인대 입구삼거리 - 등기소앞사거리 - 명지대 입구사거리 - 통일공원삼거리 - 문예회관입구삼거리 - 처인구청 후문사거리 - 터미널사거리
백복령 과 국도 제42호선
기존 구간 (2009년 이전 노선)
기존 구간 (2015년 이전 노선)
평창군 노론삼거리 - 노론 교차로 - 멧둔재 교차로 - 멧둔재터널 - 창리삼거리 - 미탄삼거리 - 백운삼거리 - 비행기재터널
정선군 비행기재터널
기존 구간 (2018년 이전 노선)
정선군 광하교 - 솔치삼거리 - 용탄삼거리 - 복실삼거리 - 정선정보산업고등학교 - 정선여객터미널 - 현대아파트삼거리 - 정선1교삼거리 - 정선1교 - 군청앞삼거리 - 정선읍사무소 - 읍사무소앞삼거리 - 봉양사거리 - 교육청앞 - 정선2교사거리 - 덕송삼거리
정선군 아우라지 교차로 - 여량소교 - 여량면사무소 - 아우라지사거리 - 여량버스터미널 - 여량초등학교 - 제1여량교 - 유천 교차로
도로명
인천광역시
경기도
강원특별자치도
자동차 전용도로 구간
아래 구간은 국토교통부 에서 지정한 자동차 전용도로 구간이므로 보행자, 자전거 등은 통행할 수 없다. 이륜자동차 (모터사이클 혹은 오토바이)는 긴급자동차 (싸이카 및 소방용 모터사이클 등)에 한해 통행이 가능하며, 그 밖의 이륜자동차와 경운기, 우마차, 트랙터, 손수레는 통행할 수 없다.
도로명
시점
종점
총연장 (km )
차로수
지정일
신중부대로
경기도 용인시 기흥구 영덕동 (영덕 교차로)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남동 (대촌 분기점)
12.42
4
2009년 10월 13일
여원로
경기도 여주시 교동(교리 교차로)
경기도 여주시 강천면 부평리
10.3
4
1997년 6월 13일
경기도 여주시 강천면 부평리
강원특별자치도 원주시 문막읍 건등리(문막사거리)
9.42
4
1999년 12월 28일
원주시 국도대체우회도로
강원특별자치도 원주시 흥업면 사제리(광터 교차로)
강원특별자치도 원주시 판부면 서곡리(서곡 교차로)
11.7
4
2001년 4월 10일
강원특별자치도 원주시 관설동(관설 교차로)
강원특별자치도 원주시 봉산동(봉산터널)
7.4
4
2002년 8월 3일
강원특별자치도 원주시 봉산동(봉산터널)
강원특별자치도 원주시 소초면 수암리
7.5
4
2001년 12월 27일
서동로
강원특별자치도 동해시 이로동(소비 교차로)
강원특별자치도 동해시 쇄운동(청운 교차로)
5.47
4
2008년 7월 18일
같이 보기
각주
↑ 대통령령 제5771호 일반국도노선지정령 , 1971년 8월 31일 제정.
↑ 건설부고시 제408호 , 1972년 9월 19일.
↑ 건설부공고 제149호 , 1976년 10월 30일.
↑ 水仁間(수인간) 國道(국도)개통 , 동아일보, 1976년 12월 30일 작성.
↑ 원주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1호 , 1980년 2월 22일.
↑ 대통령령 제10247호 일반국도노선지정령 , 1981년 3월 14일 일부개정.
↑ 대통령령 제11899호 일반국도노선지정령 , 1986년 5월 13일 일부개정.
↑ 원주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1994-6호 , 1994년 3월 16일.
↑ 원주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1994-30호 , 1994년 7월 15일.
↑ 원주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1995-1호 , 1995년 1월 12일.
↑ 서울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1995-7호 , 1995년 2월 11일.
↑ 대통령령 제15101호 일반국도노선지정령 , 1996년 7월 1일 일부개정.
↑ 건설교통부공고 제1997-200호 , 1997년 6월 13일.
↑ 서울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1998-7호 , 1998년 1월 14일.
↑ 서울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1998-222호 , 1998년 5월 1일.
↑ 원주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1999-78호 , 1999년 7월 21일.
↑ 서울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1999-228호 , 1999년 9월 8일.
↑ 원주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1999-133호 , 1999년 12월 28일.
↑ 서울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00-12호 , 2000년 1월 20일.
↑ 원주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1999-134호 , 1999년 12월 28일.
↑ 서울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00-402호 , 2000년 12월 23일.
↑ 원주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01-24호 , 2001년 4월 10일.
↑ 원주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01-154호 , 2002년 1월 7일.
↑ 원주시공고 제2002-384호 , 2002년 8월 3일.
↑ 원주지방국토관리청 공고 제2003-88호 , 2003년 10월 4일.
↑ 서울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04-188호 , 2005년 1월 5일.
↑ 서울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07-79호 , 2007년 8월 30일.
↑ 원주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07-98호 , 2007년 11월 9일.
↑ 서울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08-25호 , 2008년 3월 26일.
↑ 원주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08-93호 Archived 2014년 10월 20일 - 웨이백 머신 , 2008년 12월 31일.
↑ 용인시공고 제2009-1800호, 2009년 10월 13일.
↑ 원주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13-107호 , 2013년 11월 5일.
↑ 원주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13-120호 Archived 2014년 10월 20일 - 웨이백 머신 , 2013년 12월 18일.
↑ 원주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14-1호 , 2014년 1월 21일.
↑ 국도 42호선 평창∼정선 14.9km 4차로 확장 개통 , 연합뉴스, 2015년 11월 26일 작성.
↑ 원주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17-115호 , 2018년 1월 3일.
↑ 원주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18-8호 , 2018년 2월 8일.
↑ 서울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18-122호 , 2018년 11월 27일.
↑ 원주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18-106호 , 2018년 12월 28일.
↑ 2019년 1월 9일 원주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19-1호 를 통해 정정.
↑ 서울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20-151호 , 2020년 12월 31일.
↑
원주지방국토관리청공고제2022-64호 , 2022년 7월 19일.
↑ 가 나 다 교차로와 나들목뿐만 아니라 인근 지역의 건물 및 시설 등도 포함
Information related to 국도 제42호선